반응형 전체 글149 40강. 충(沖) 목차1. 충(沖)이란 무엇인가?2. 지지 충의 대표 예시3. 천간충? (희귀 사례)4. 충이 만들어내는 사건성과 변화5. 충이 일으키는 다양한 해석 양상6. 충과 다른 작용(합, 형, 해, 파) 병행 시 주의7. 운세(대운·세운)에서 충이 들어올 때8. 실제 예시로 보는 충 작용9. 충 해석 시 주의사항10.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앞선 강의에서 합(合)을 다뤘다면, 이제는 간지(干支) 간의 강력한 충돌을 의미하는 충(沖)에 대해서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명리학에서 충은 큰 변화를 만들어내는 대표적 작용 중 하나로, 사주 원국이나 대운‧세운에서 충이 발생하면 사건성과 변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합니다. 그러면 충의 개념과 적용 방법을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1. 충(沖)이란 무엇인가?충(沖)은 말 .. 2025. 1. 21. 39강. 합(合) 목차1. 합(合)이란 무엇인가?2. 합의 기초 작용 원리3. 천간합: 오합(五合)4. 지지합의 종류: 육합, 삼합, 방합5. 합의 다양한 해석 양상6. 합이 많으면 생기는 문제점7. 합과 충(沖)의 병행 작용8. 실제 예시로 보는 합의 작동9. 운세에서 합(大運, 歲運)의 영향10.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앞선 기초 강의에서, 우리는 합(合)·충(沖)·형(刑)·해(害)·파(破) 중 가장 부드러운 결합 작용인 합(合)을 간략히 언급했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합 개념을 더욱 깊이 파고들어, 천간합과 지지합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사주명식에서 합이 일어날 때 어떤 식으로 성격·관계·사건에 영향을 미치는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합이 너무 많아서 생기는 문제나, 충(沖)과 함께 나타나는 복합 작용까지도 .. 2025. 1. 20. 38강. 합(合)·충(沖)·형(刑)·해(害)·파(破) 기초 강의 목차1. 합충형해파란?2. 간지(干支) 작용의 기본 개념3. 합(合) 기초 개념4. 충(沖) 기초 개념5. 형(刑) 기초 개념6. 해(害) 기초 개념7. 파(破) 기초 개념8. 실제 해석에서의 합충형해파9. 운세(대운·세운)와의 연관성10.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명리학에서 사주(四柱) 해석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합(合)·충(沖)·형(刑)·해(害)·파(破)는 간지(干支)들끼리 맺는 주요 작용 관계로서, 사주를 읽고 운세를 해석할 때 반복해서 등장하는 핵심 개념들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합충형해파가 무엇을 의미하며, 왜 중요한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음 강의부터 각각을 더 깊이 파고들어볼 예정입니다.1. 합충형해파란?합(合)·충(沖)·형(.. 2025. 1. 19. 37강. 기신 - 해석 적용 목차1. 기신과 원국의 충돌이란?2. 합(合)·충(沖)·형(刑)·해(害)에서 기신이 작용할 때3. 사건·사고 양상: 구체적 예시4. 대운·세운에서 기신 충돌이 강화되는 경우5. 사례1: 재성(財)이 기신인데 운에서 재성이 극대화된 경우6. 사례2: 관성(官)이 기신인데 관살혼잡이 가중된 경우7. 대처 전략: 기신 운을 분산·완화하기8. 주의사항: 과도한 공포감은 금물9. 실전 팁 정리10.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이전 강의에서는 기신(忌神)이 운세(대운‧세운)로 들어올 때 사주 원국에 부담을 주거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기신이 원국과 강하게 충돌(또는 합‧형‧해)해서 큰 사건이 발생하는 양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현실적으로 어떻게 예방‧완화할 수 있는지도 함께.. 2025. 1. 18. 36강. 기신(忌神) 목차1. 기신이란 무엇인가?2. 기신이 선정되는 기본 원리3. 기신 오행이 운세로 들어올 때4. 기신 해석의 기본 절차5. 예시1: 사주가 약한데 기신이 들어오는 경우6. 예시2: 사주가 강한데 기신이 더 강화되는 경우7. 기신 해석 시 주의사항8. 실전 팁: 기신 운을 ‘활용’하는 방법9.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지난 강의에서 우리는 용신(用神)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용신이 ‘사주의 균형을 맞춰주는 에너지’라면, 기신(忌神)은 그 반대로 사주의 균형을 깨뜨리거나 과도한 편중을 일으키는 오행을 의미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기신이라는 개념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실제로 운세(대운·세운)에서 기신이 들어올 때 어떻게 해석하고 대처하는지 안내해 드리겠습니다.1. 기신이란 무엇인가?기신(忌神)은 명리.. 2025. 1. 17. 35강. 용신 - 운세 해석 적용 목차1. 용신의 개념 복습2. 운세(대운‧세운)와 용신의 연관성3. 용신이 잘 작동하는 운 vs 작동하지 못하는 운4. 운세 해석 기본 절차5. 예시1: 사주가 약하고 용신이 비겁일 때6. 예시2: 사주가 강하고 용신이 식상‧관성일 때7. 운세 해석 시 주의사항8. 실전 팁: 용신 활용의 방향성9.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지금까지 우리는 용신(用神)과 기신(忌神)의 기초, 그리고 사주의 강약을 중심으로 용신을 선정하는 원리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용신을 운세 해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봅니다. 즉,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흐름에서 용신이 들어오는 시기, 혹은 기신이 강화되는 시기에 어떤 식으로 해석을 진행하면 되는지, 구체적인 절차와 예시를 통해 안내드리겠습니다.1... 2025. 1. 1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