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강. 사주명리 기초 총정리
목차1. 음양오행2. 천간(十天干)3. 지지(十二支支)4. 십신(十神)5. 용신·기신6. 합형충파해7. 대운·세운8. 지장간(地藏干)9. 종합 해석 흐름10. 결론이제까지 우리는 명리학 기초를 단계별로 살펴봤습니다. 음양오행으로 출발해 천간, 지지, 십신, 용신·기신, 합형충파해, 대운·세운, 그리고 지장간까지. 이번 강의에서는 그 모든 개념을 간단히 리뷰하고, 실전 해석 흐름에서 어떤 식으로 유기적으로 적용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1. 음양오행명리학의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으로, 음양(陰陽)과 오행(木, 火, 土, 金, 水)을 말합니다.음양은 "세상을 양(陽)과 음(陰)으로 나누는" 근본 원리오행은 "목·화·토·금·수" 다섯 가지 기운이 서로 생(相生)하고 극(相克)하며 자연과 인간을 이룬다는 이론명리학..
2025. 2. 4.
25강. 십신의 기초: 편재
지난 강의: 편관목차1. 편재란 무엇인가?2. 편재의 형성 원리3. 편재의 특성 및 의미4. 편재와 인간관계5. 재물운과 편재6. 사례로 보는 편재 에너지7. 편재 해석 시 주의할 점8.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 재성(財星)은 재물, 물질적 가치, 더 나아가 타인에게 베푸는 태도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인데, 편재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에너지를 발휘하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1. 편재란 무엇인가?명리학에서 재성(財星)은 “내가 극하는 오행”을 가리키며, 재물, 경제활동, 타인에게 주고받는 물적 교류 등을 넓게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이 재성 안에 두 가지 갈래인 정재(正財)와 편재(偏財)가 존재하는데, 내가 일간(日干)이고, 상대 오행이 내가 극하는 관계이면서, 음양이 나와 동일하면 그것이 곧 편재가 ..
2025. 1. 6.
22강. 십신의 기초
목차1. 십신이란?2. 십신의 기본 구조3. 십신 구하는 방법4. 십신과 인간관계5. 십신 해석 시 주의점6. 결론 및 다음 강의 안내앞선 사주의 구성과 기초 해석에서 우리는 음양오행, 천간지지, 일간 중심 해석법 등을 배우며 사주 해석의 기초 틀을 다졌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십신(十神)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십신을 어떻게 구하는가”에 대한 기본 원리를 소개하겠습니다. 다음 강의부터는 정관, 편관, 정재, 편재, 정인, 편인, 식신, 상관, 비견, 겁재를 하나씩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1. 십신이란?십신은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했을 때, 명식에 나타나는 다른 간지(주로 천간)들이 나와 어떤 오행적 관계(생(生)·극(克)·동(同)·설(洩) 등)를 맺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단순히 ‘나..
2025. 1. 3.
21강. 사주의 구성과 기초 해석
목차1. 사주의 구성: 사주명식이란?2. 일간(日干)의 중요성3. 사주의 기둥(年柱, 月柱, 日柱, 時柱)4. 음양오행 분포와 균형 파악5. 기초 해석 시 주의할 점6. 종합 해석 예시7. 결론 및 다음 강의 안내사주명리를 공부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기초가 되는 파트가 바로 ‘사주의 구성’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앞선 천간과 지지의 이해(강의 3)에서 십천간(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과 십이지지(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개념을 배웠다면, 이제 이들을 어떻게 실제 명식에 적용하고 해석할 수 있는지 배울 차례입니다.1. 사주의 구성: 사주명식이란?‘사주(四柱)’는 말 그대로 네 개의 기둥(柱)을 의미합니다. 사람마다 태어난 년(年..
2025.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