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주십신4

29강. 십신의 기초: 편인 지난 강의: 상관목차1. 편인이란 무엇인가?2. 편인의 형성 원리3. 편인의 성향과 특징4. 학문·정신적 에너지로서의 편인5. 편인과 인간관계6. 실제 사례로 본 편인7. 편인 해석 시 주의점8.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명리학에서 인성(印星)은 개인의 학문적, 정신적 토대와 깊이 있는 내면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 인성 가운데서 편인(偏印)을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나를 생(生)해주는 오행” 중 일간과 음양이 같으면 편인이라 하여, 이 편인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어떻게 발현되는지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1. 편인이란 무엇인가?인성(印星)은 내가 의지하거나 지적 자양분을 얻는 영역을 상징합니다. 이를 다시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으로 나누는 기준은 음양 여부인데, 그중 나를 생해주는 .. 2025. 1. 10.
28강. 십신의 기초: 상관 지난 강의: 식신목차1. 상관이란 무엇인가?2. 상관의 형성 원리3. 상관의 성향과 특징4. 폭발적 창의력과 표현력5. 상관과 인간관계6. 실제 사례로 본 상관의 작용7. 상관 해석 시 주의사항8.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앞서 우리는 식신(食神)을 살펴보며, 부드럽고 안정적인 창의력과 표현력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러나 식상(食傷) 계열 안에는 또 다른 십신, 상관(傷官)이 존재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상관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상관이란 무엇인가?상관(傷官)은 “내가 생(生)하는 오행” 가운데, 일간(日干)과 음양이 다를 경우를 가리키는 십신입니다. 식신이 부드럽고 꾸준하게 창의력을 발휘하는 유형이라면, 상관은 그보다 훨씬 강렬하고 순간적인 폭발력을 갖는 것으로 .. 2025. 1. 9.
26강. 십신의 기초: 정재 지난 강의: 편재목차1. 정재란 무엇인가?2. 정재의 형성 원리3. 정재의 성격과 특징4. 정재와 재물 운5. 대인관계와 정재의 작동6. 사례로 살펴보는 정재 에너지7. 정재 해석 시 주의점8. 결론 및 다음 강의 예고 1. 정재란 무엇인가?명리학에서 재성(財星)은 기본적으로 내가 극(克)하는 오행을 의미하고, 그 안에서 음양 여부에 따라 편재와 정재로 세분화됩니다. 그렇다면 정재(正財)란, “내가 극하는 오행이 일간과 음양이 다를 때”를 지칭합니다. 이러한 정재는 보다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재물 운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편재와는 상반된 성향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정재는 말 그대로 ‘바른 재물’ 또는 ‘정직한 자산 축적’ 같은 이미지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테면 성실하게 노력하여 적립한 재.. 2025. 1. 7.
23강. 십신의 기초: 정관 목차1. 정관(正官)이란?2. 정관의 형성 원리3. 정관의 성격적 특징4. 정관의 작용 방식과 인간관계5. 정관 해석 시 주의할 점6. 결론 및 다음 강의 안내앞선 십신의 기초편 강의에서 우리는 십신(十神)이 무엇이며, 어떻게 구하는지를 큰 틀에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강의부터는 십신을 하나씩 구체적으로 파고드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 첫 번째 주자는 바로 정관(正官)입니다. 정관은 명리학에서 “나(일간)를 바르게 통제하고 이끌어주는 에너지”로 유명하며, 조직사회나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1. 정관(正官)이란?정관(正官)은 십신 중 관성(官星) 계열에 속합니다. ‘관성’은 나(일간)를 극(克)하는 오행이지만, 음양이 일치하는 경우 ‘바르고 안정적인 관(官)’이라 하여 정관이.. 2025. 1. 4.